[마감] 2023년 하계인턴 시행 안내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최고관리자
댓글 0건 조회 307회 작성일 2023-05-09 09:23
본문
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에 관심있는 DGIST 기초학부생 및 타 대학 3, 4학년 학부생 또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하계인턴십을 개최합니다.
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.
- 운영기간: 2023. 06. 26.(월) ~ 2023. 07. 28.(금), 5주
- 모집기간: 2023. 05. 08.(월) ~ 2023. 05. 19.(금) 16:00까지
- 인턴프로그램 신청: DGIST 홈페이지(https://www.dgist.ac.kr/gadm/html/sub03/0303.html)
- 합격자 발표: 2023. 06. 07.(수)
- 합격자 공지: 개별안내
-인턴십 연구내용
1. 미래전자소자연구실 (김봉훈 교수)
∘ 생체집적 및 생체모사 전자소자
∘ 바이오 메디컬 전자소자 및 마이크로 로봇
∘ 퀀텀닷, 페로브스카이트, 2차원 나노재료, 자기조립 연성재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나노소재
2. 신경인터페이스 및 마이크로시스템 연구실 (김소희 교수)
∘ BMI (brain-machine interface) 기술의 구성 요소 이해
∘ 뇌 신호, 근육 신호 등 생체전기 신호 측정 원리 이해 및 실험
∘ 유연 폴리머 재료 기반 뇌 전극의 특성 분석
3. 나노 소재 및 소자 연구실 (김회준 교수)
∘ 4D 프린팅을 활용한 웨어러블 센서 제작 및 실험
∘ 로봇 그리퍼 적용 온감 센서 제작 및 실험
4. 지능형 이미징 및 비전 시스템 연구실 (문인규 교수)
∘ 바이오의료영상 자동 분류 및 분석용 딥러닝 모델 설계
∘ 디지털 암호체계 안전성 분석용 딥러닝 모델 설계
5. 의료영상 및 신호처리 연구실 (박상현 교수)
∘ 딥러닝을 활용한 의료영상 분류, 검출, 영역화 기법 구현
∘ 딥러닝을 활용한 수술로봇 검출 및 추적
6. 멀티스케일 생의학 로봇 연구실 (박석호 교수)
∘ 세포/약물전달 마이크로로봇 설계 및 제작
∘ 형상변형 마이크로 소프트로봇 설계 및 제작
∘ 의료용 마이크로/나노로봇 구동 요소기술 연구
7. 지능 바이오옵토메카트로닉스 연구실 (송철 교수)
∘ 메타버스 기반 박스터 로봇의 인간 상호 협력 연구
∘ 다기능 정밀 로봇 기술 연구
∘ 인공지능 광메카트로닉스 시스템 연구
8. 모션컨트롤 연구실 (오세훈 교수)
∘ 2족, 4족 로봇의 보행 안정화 제어
∘ 자동차의 조향장치, 현가장치 제어, 미래차 주행 최적화 제어
∘ 로봇매니퓰레이션을 이용한 작업제어
∘ 기계학습, AI기술의 제어알고리즘에의 적용
9. 의생명 초음파 연구실 (유재석 교수)
∘ 뇌질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초음파/광음향 영상 및 뇌자극 기술 연구
∘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처리 및 진단 기술 개발
∘ 나노 진단/치료 플랫폼 개발
∘ 지능형 소나 연구
10. 바이오 로봇 메카트로닉스 연구실 (윤동원 교수)
∘ 자연모사 로봇 : 자연모사를 통한 새로운 로봇 구동/구조 탐구 및 이를 응용한 로봇 개발
∘ 유연 로봇: Soft materials, smart material 등을 적용한 유연 로봇(Soft robotics) 개발
∘ 센서/액추에이터 등의 로봇 요소기술 개발
∘ 의료용/산업용 로봇/메카트로닉스 응용 분야 연구
11. 신경로봇 연구실 (이상훈 교수)
∘ 로봇팔다리구동 및 감각전달을 위한 신경/근육 인터페이스 제작 및 packaging
∘ 말초신경신호측정 원리 이해 및 이를 위한 생리학적 실험
∘ 신경자극을 위한 마찰전기나노발전기 제작 및 특성측정
12. 차세대의료영상 연구실 (이옥균 교수)
∘ X-ray CT에서의 물질분리 원리 이해 및 기계학습 기법 적용
∘ 생체 조직 내에서의 광자(근적외선 영역)의 이동 원리 이해 및 Monte Carlo simulation 실습 (open toolbox 이용)
∘ 근적외선 분광기(near-infrared spectroscopy) 실습 및 측정신호 전처리
13. 소프트 바이오일렉트로닉스 연구실 (이재홍 교수)
∘ Textile 기반 웨어러블 센서 및 센서네트워크
∘ 로봇 적용을 위한 유연촉각센싱 시스템
∘ 체내 이식형 헬스케어 센싱 전자소자
∘ 체내분해 무선 생체 모니터링 시스템
∘ 각종 flexible, stretchable electornics
14. 자율시스템제어연구실 (임용섭 교수)
∘ 딥러닝 활용한 실내/외 자율 주행 및 비행 시스템의 경로 계획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
∘ 인공지능 활용한 미래 모빌리티 시스템 설계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
15. 생체집적전자소자 연구실 (장경인 교수)
∘ 생체신호 수집/분석/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피부/옷감
∘ 뇌에 삽입하는 자율작동형 뇌기능 재건 시스템
∘ 생체이식이 적합한 생체 모사기반의 전자소자
∘ 몸 속에서 녹는 생체친화형 전자소자
16. 바이오 마이크로로봇 연구실 (최홍수 교수)
∘ 초정밀 약물 전달 및 세포치료용 마이크로/나노로봇
∘ 혈관시술용 유연 마이크로봇 및 제어 시스템
∘ 자기장 제어 시스템 설계 및 deep learning 기반 제어
∘ MEMS 공정 기반 초소형 소자 개발
∘ Body-on-a-chip/Organ-on-a-chip/Brain-on-a-chip
17. 지능형 나노광학 연구실 (한상윤 교수)
∘ 빛으로 동작하는 저전력 뉴럴 노드
∘ 빛을 이용한 초고속 tensor processing unit (TPU)의 구현
∘ 프로그래머블한 빛 회로
∘ 레이저로 동작하는 초고속 광 컴퓨터
18. 수술로봇 및 증강현실 연구실 (홍재성 교수)
∘ 유연 관절 기반 정밀 수술 로봇
∘ 증강/가상현실 기반 병소 추적 시스템
19. 수술 로봇 및 정밀 조작 연구실 (황민호 교수)
∘ 유연한 수술용 머니퓰레이터의 메커니즘 개발
∘ 유연한 수술용 머니퓰레이터의 정밀제어와 딥러닝을 이용한 오차 보상 알고리즘
∘ 딥러닝/강화학습을 이용한 로봇팔의 물체파지/조작 자동화
(양손으로 물체 주고받기, 물체 안정적 파지 등)
∘ 정밀 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3차원 물체 인식와 이를 이용한 시각적 서보잉 알고리즘 개발
- 이전글[마감] 오픈랩 개최(9월 16일) 23.08.25
- 다음글[마감] 오픈랩 개최(4월 8일) 23.03.24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