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oard

ROBOTICS and MECHATRONICS ENGINEERING

News

[연구성과] 최홍수 교수팀, 작은 로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해 뇌 신경망과 연결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
작성자 최고관리자

댓글 0건 조회 26회 작성일 2023-03-07 11:10

본문

[몸 속 신경망을 외부에서도 연결할 수 있는 마이크로로봇 기술 개발]

a2b8b37412eb1291920ac97c0b52db0a_1678154168_262.png

- DGIST 최홍수 교수팀, 오용석 교수팀, 한국뇌연구원 라종철 책임연구원팀, 생체 외 환경에서 해마 뇌 조직의 목표지점에 마이크로로봇 전달 후 신경망 연결 및 신경 신호 측정

- 국내 연구진이 체외에서 자기장으로 제어해 신경 마이크로로봇을 정밀하게 이동시켜 쥐 뇌의 신경망과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. 생체 밖 환경에서 인위적으로 신경망을 구현한 것으로 뇌 , 무릎 , 안구 질환 등 신경 기능 회복이 필요한 곳에 세포치료제를 정밀하게 전달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.

- 이번 연구는 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, 한국연구재단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,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‘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(Advanced Materials, JCR IF 32.086, 분야 상위 2.1%)’에 2월 15일(수) 온라인 게재됐다.

보도자료1, 보도자료2

a2b8b37412eb1291920ac97c0b52db0a_1678156121_9625.png

그림 1: 자성 나노입자(SPIONs, 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s)가 포함되지 않은 마이크로로봇의 신경돌기 배양 세포 염색 결과 (상)와 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한 자성 신경 마이크로로봇(Mag-Neurobot)의 신경돌기 배양 세포 염색 결과 (하)

a2b8b37412eb1291920ac97c0b52db0a_1678156148_3781.png

그림 2: 자성 신경 마이크로로봇의 정밀 제어를 통한 해마 조직 절편과의 연결 과정

a2b8b37412eb1291920ac97c0b52db0a_1678156179_3507.png

그림 3: 자성 신경 마이크로로봇과 연결된 해마 조직 절편의 세포 염색 결과 (상, 좌), 마이크로로봇과 해마 조직으로부터 발생한 자발적 전기 신경 신호 측정 결과 (상, 우), 마이크로로봇 내 신경세포 자극을 통해 해마 조직 절편으로 전달된 신호의 순차적 전달결과 (하)